본문 바로가기

Backend/Java

(75)
[인프런] 배열, 복사, 메서드 예제로 공부하는 Java 100 문제풀이 Part.2 배열 복사하기: arraycopy() 메서드 사용 → System.arraycopy(원본배열명,???,복사배열명,???,길이);
[인프런] 배열, 값, for문, 반복문 - Arrays.toString() 메서드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 배열의 값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Arrays 클래스의 toString()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 toString() 인자로는 배열명을 넣어주면 된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import java.util.Arrays; 선언이 되어야 한다.
[인프런] 정수형, 실수형, 배열, 주소값 예제로 공부하는 Java 100 문제풀이 Part.2
[인프런] 정수형 배열, 요소, 원소, 초기화 배열의 초기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public class Java100Ex1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table = {1, 2, 3, 4, 5}; //첫 번째 방법 int[] table2 = new int[] {1, 2, 3, 4, 5}; //두 번째 방법 int[] table3; //세 번째 방법 table3 = new int[] {1, 2, 3, 4, 5}; } } 단, 아래와 같은 방법은 error가 난다. public class Java100Ex1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rror 발생 //int[]table4; //table4 = {1, 2, 3, 4, 5}; } }
[인프런] 배열, 인덱스, index, 초깃값 - 배열과 인덱스 배열 변수는 참조형 타입으로써 해당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게 된다. 즉, 해당 메모리 공간의 주소 값을 가지며 이를 참조한다. 주소 값은 다른 표현으로는 참조 값이라고도 부른다. 공간이 10개 만들어지면 동시에 자동적으로 해당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인덱스 번호가 부여된다.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하며 마지막 인덱스는 "배열의 크기 -1"이 된다.
[인프런] 배열, 용도, 선언, 사용 - 배열이란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값들을 하나의 배열명으로 저장시킬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 배열의 선언 데이터타입[] 배열명 = new 데이터타입[배열크기]; 데이터타입 배열명 [] = new 데이터타입[배열크기]; - 배열의 특징 배열을 이용하면 일일이 변수를 선언할 필요가 없다. 배열의 크기가 지정이 되면 배열 공간의 값은 자동으로 초기화된다. (정수형 : 0, 실수형 : 0.0)
[인프런] static의 역할 작성한 자바 코드를 실행할 때 static을 사용하지 않으면 에러가 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static으로 선언된 함수(메서드)나 변수는 java virtual machine에서 인스턴스 객체의 생성 없이 호출을 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객체 생성없이 해당 함수를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2)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static으로 지정된 메서드를 찾아서 먼저 메모리에 할당시킨다. (3) static으로 지정된 메서드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객체를 생성하는 것과 상관없이 모두 메모리에 할당시킨다. (4) 그런 후에 main으로 이름이 만들어진 메서드가 있는지를 찾아서 그 메서드를 가장 먼저 시작점의 메서드로써 호출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인프런] switch, 조건, 조건문, 사용법 사용자 입력 예외처리 → System.exit(0); switch 조건문 → 변수 조건은 정수형이어야 한다. (byte, short, int) → long 타입은 안 된다. (왜...?) → 문자형도 된다. (char) → break, default 빼먹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