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Function을 이용()=>해서 코드를 나타내보았다.
/* Header 컴포넌트 이벤트 기능 넣기*/
function Header(props){
return <header>
<h1><a href="/" onClick={function(event){ //onClick이라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onClick의 C는 대문자이다.
event.preventDefault(); //event.preventDefault()는 a태그의 기본 동작을 방지한다.(리로드를 방지한다.)
props.onChangeMode(); //onChangeMode 함수를 호출한다.
}}>{props.title}</a></h1> //클릭을 했을 때 페이지 리로드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function(event)라고 event 객체를 첫 번째 파라미터로 주입한다.
</header>
}
<Header title="WEB" onChangeMode={function(){ //onChangeMode라는 prop의 값으로 함수를 전달한다.
alert('Header'); //WEB을 눌렀을 때 Header라는 경고창이 뜨게 한다.
}}></Header>
파라미터가 한 개인 경우 () 생략 할 수 있다.
onChangeMode()를 호출하려면 props.onChangeMode(id값);
id값을 얻어내려면 a 태그 안에 id={t.id}를 작성한다.
id값은 event.target.id가 된다. 이벤트를 발생시킨 타겟의 아이디를 나타낸다.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Create(에러) (0) | 2022.09.26 |
---|---|
[생활코딩] state(에러) (0) | 2022.09.26 |
[생활코딩] props (0) | 2022.09.26 |
[생활코딩] 컴포넌트 만들기 (0) | 2022.09.25 |
[생활코딩] 소스 코드 수정 방법 (0) | 2022.09.25 |